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맹목적 '인 서울'에 외면받는 지방대.. 거점국립대도 미달 걱정 [지방을 살리자]

페이지 정보

본문

2회) 인재가 없는 지방
지방권 49개大 경쟁률 3대 1도 못 미쳐
사실상 미달.. 서울권과 격차 더 벌어져
전국 19곳은 지원자가 정원에도 모자라
고대·연대 수준 버금갔던 명문 부산대
2021학년도엔 경쟁률 3.24대 1 그쳐
일자리·인프라 집중된 서울 선호 과열
서울 유명대도 지방 이전하면 인기 뚝↓
"국가 중심적 대학체제로 개편 나서야"

맹목적 '인 서울'에 외면받는 지방대.. 거점국립대도 미달 걱정 [지방을 살리자]

지방대가 무너지고 있다. 이대로 가다간 벚꽃 피는 순서대로 학교 문을 닫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현실화할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 과거 웬만한 서울지역 대학 못지않은 위상을 자랑했던 지방 거점 국립대도 대부분 초라해진 상태고, 지역의 사립대 상당수는 정원을 채우지 못한 채 발만 구르고 있다.

2일 교육계에 따르면 2022학년도 입시에서 1대 0 미만의 경쟁률을 기록한 대학은 모두 19곳으로 나타났다. 경쟁률이 미달인 학교는 지난해 9곳에서 올해 두 배 이상 늘어났다. 부산의 신라대와 영산대의 2022학년도 경쟁률이 1대 1을 밑돌았고, 광주의 광주여대와 광신대, 호남대 등에서도 입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정원보다 적었다.

이번 정시에서 경쟁률이 3대 1보다 낮은 곳은 59곳이었다. 이중에서 지방권역 대학이 49곳에 달한다. 수험생이 정시에서 가·나·다군에 한 곳씩 모두 3번 원서를 내고, 중복 합격한 신입생들이 다른 대학으로 빠져나간다는 점을 감안해 교육계에서는 ‘경쟁률이 3대 1에 미치지 못할 경우 이를 미달로 간주’한다. 이번 정시에서는 대전의 한남대와 배재대, 또 부산의 동의대와 동서대가 사실상 미달이었다. 의대 신입생을 모집한 경남 김해의 인제대와 한의대가 있는 충북 제천의 세명대 경쟁률도 3대 1을 밑돌았다.

◆지방 국립대의 높았던 위상

지방에 있는 국립대의 상황도 좋지 않다. 지방 국립대는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낮은 등록금 등을 앞세워 우수한 인재들을 흡수하는 학교로 명성을 떨쳤다. 1980년대 부산대의 경우 부산에서 ‘서울대에 입학하지 못할 경우 고려대나 연세대와 함께 다음 선택지로 고민하던 곳’이란 인식이 강할 정도였다.

그 외에 지방의 거점 국립대 역시 마찬가지로 서울의 명문 사립대와 비교해 뒤처지지 않을 수준이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임장수(85학번)씨는 “한양대와 충남대를 고민하다가 집안 형편에 맞춰 충남대 법대를 선택했다”며 “졸업할 때 행정고시나 사법시험에 합격한 동문이 4명 정도였고, 취업 걱정도 크게 없어서 대부분 후회하지 않는 분위기였다”고 돌아봤다.
◆격차 벌어지는 지방대

하지만 지방 국립대조차 미달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로 몰리고 있다. 부산대의 2021학년도 경쟁률은 3.24대 1까지 낮아졌다. 지난해 입시에서 충남대 경쟁률은 3.30대 1에 불과했고, 전남대는 3.16대 1까지 떨어졌다. 경북대와 제주대 등도 모두 3대 1 수준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학원가에서 ‘입시 설명회를 할 때 특히 부산대 출신 학부모로부터 대학 배치표가 뭔가 잘못된 것 아니냐는 항의성 질문을 받는 건 연례행사가 됐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지방 국립대의 경쟁률 하락세는 일단 멈춘 상태다. 2022학년도 입시에서 부산대와 경북대가 5대 1 수준으로 경쟁률을 회복했고, 충남대와 제주대, 강원대에서도 4대 1 이상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하지만 경쟁률이 일시적으로 상승했을 뿐, 상황은 나아진 게 없거나 더 나빠진 것과 마찬가지라는 평가가 나온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올해 지방 국립대 경쟁률이 상승했다는 점보다 중요한 것은 서울의 대학과 격차가 더 벌어졌다는 점”이라며 “지방대 경쟁률이 떨어진 만큼 서울권 대학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2022학년도 지방권 대학의 정시 경쟁률은 2.73대 1에서 3.33대 1로 상승했지만 서울의 대학과 경쟁률 차이는 2.38대 1에서 2.79대 1로 더 벌어졌다.

◆서울 집중화와 지방대의 위기

지방대의 위기는 지나친 서울 선호도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아무리 좋은 학교라고 하더라도 지역으로 내려갈 경우 곧바로 학교의 위상이 떨어질 수 있다는 의미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같은 연세대 의대지만 신촌캠퍼스와 미래캠퍼스의 성적이 차이가 나는 것 역시 서울에 있고, 없고의 차이”라며 “서울 선호도가 높기 때문에 서울의 대학이 실력과 상관없이 지방의 대학보다 높은 평판과 인기를 얻고 있다”고 말했다. 우 소장은 “연세대나 고려대가 각각 지방으로 내려가도 그 위상은 금세 낮아질 것”이라며 2007년 서울 한남동 캠퍼스를 경기 용인 죽전으로 옮긴 단국대 사례도 언급했다. 단국대는 당시 비좁은 서울캠퍼스에선 양질의 성장을 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해 과감하게 ‘인(in) 서울’을 벗어나 4배 가까이 큰 죽전캠퍼스로 옮겼다. 이후 교육·연구 환경 등을 크게 개선했지만 대입 수험생들의 선호도는 캠퍼스가 서울에 있을 때보다 많이 낮아졌다는 게 입시업계의 평가다.

김경회 성신여대 교수(교육학)는 “사회, 문화 인프라가 모두 서울에 집중돼 있어서 서울에서 살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라며 “산업과 연계해서 젊은이들을 육성해야 하는데 지방에 대한 투자가 부족한 데다 지방에는 눈에 띄는 일자리도 없다”고 말했다.
◆대학 시스템 개편해야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대학시스템을 제대로 개편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장수명 한국교원대 교수는 “일제의 경성제대는 서울대가 됐고 연세대와 고려대 또한 사립전문대학들의 전환으로 세워지는 등 설립 순서가 곧 대학의 서열이 됐다”며 “우리나라가 대학체제를 제대로 설계해 본 적이 없다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이어 “국립대가 전국에 산재하지만 이들은 국가의 중심적인 대학체제로 자리 잡지 못했다”며 “응용과학대학은 광역지방정부가, 개방적 시민대학은 기초자치단체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수 1인당 학생수 서울대 15명·충남대 25명… 재정 편중 개선을

전문가들은 지방대를 살리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지방 국립대에 서울대 수준의 재정을 편성하고, 지역 공공기관에서 현지 인재를 50% 이상 채용하는 등의 지원방안을 강화하면 지방대와 지방의 숨통이 트일 수 있다는 것이다.

2일 대학알리미 등에 따르면 지방 국립대의 교수 1인당 학생 수는 서울대보다 5명 이상 많은 수준이다. 서울대의 교수 1인당 학생 수는 15.0명이다. 교수 1인당 학생 수가 가장 많은 국립대는 충남대로 25.5명이고, 충북대는 24.6명으로 집계됐다. 이어 △부산대 23.4명 △경북대 23.3명 △전남대 20.5명 등 순으로 조사됐다.

교육비 격차는 더 컸다. 서울대 교육비는 1조2575억원이었지만 부산대는 5232억원으로 서울대의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서울대의 1인당 교육비를 100으로 가정할 경우 부산대는 40.7 수준이었고 나머지 국립대는 모두 30 수준에 불과했다. 장수명 한국교원대 교수는 “지방 국립대 교수의 연구역량이나 학습역량이 부족하지 않은데, 서울대 중심의 대학재정 편성이 과연 정당한지 의문”이라며 “국가교육위원회에 고등교육위원회를 설치하거나 독자적인 기구를 설립해 고등교육의 빅픽처를 총괄하고 기획해야 한다”고 말했다.

재정적 지원과 함께 지방 공공기관의 적극적인 지역인재 채용도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부산대에 따르면 차정인 총장은 지방 공공기관에서 지역인재를 의무적으로 50% 이상 채용하는 법안을 제시하기 위해 유기홍 의원실 등 국회와 활발하게 논의하고 있다. 30%인 지방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의무 채용 비율을 50%로 늘리면서 여기에 서울과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 외 인재를 추가로 뽑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게 차 총장이 제안한 법안의 골자다. 전남 나주에 있는 한국전력공사를 예로 들면 나주에서 30%의 신입직원을 뽑고 나머지 20%를 충청도나 경상도 등에서 의무적으로 채용한 뒤 나머지 50%를 서울이나 수도권 인재를 선발하는 식이다.

이 같은 법안 마련을 촉구하는 이유는 지방의 바닥난 일자리가 지역인재의 서울 유출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판단에서다. 더불어민주.당 박주민 의원실이 지난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고용보험취득자는 서울이 31.8%, 경기와 인천이 26.4%로 전국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반면 충청은 9.7%, 호남은 7.8%에 불과하다. 지방에서 대학을 나와도 결국 좋은 일자리를 찾아 서울로 떠날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제해치 부산대 홍보팀장은 “서울과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서 50%를 선발하면 채용하는 입장에서도 부담이 줄어들 수 있다”며 “역차별이라고 주장할 수 있지만 이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지방은 소멸하게 된다”고 우려했다.

정필재 기자 rush@segye.com


https://news.v.daum.net/v/20220203060205643 

    탁구러버 표면을 복원시켜서 회전력을 살리는 영양제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profile_image

고고탁님의 댓글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이 문제를 해결하실 후보에게 투표하겠습니다.

profile_image

프로그레시브님의 댓글의 댓글

no_profile 프로그레시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http://omn.kr/1w2zk
교육정책만큼은 급진적으로 갈아 엎지 않으면 해결이 안된다고 봅니다.

profile_image
profile_image

유보라님의 댓글

no_profile 유보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독일에서 8년간 공부한 김누리 교수 왈.
대학 서열, 입시 철폐. 등록금 폐지 주장.
SNU는 자립하게 만들면 좋을거 같음.

Total 639건 4 페이지
  • RSS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비추천 날짜
489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98 0 0 06-15
488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70 1 0 06-09
487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74 1 0 06-08
486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50 0 0 06-08
485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84 0 0 05-31
484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05 2 0 05-30
483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83 0 0 05-27
482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60 0 0 05-24
481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47 0 0 05-22
480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20 0 0 05-20
479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63 0 0 05-19
478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21 0 0 05-16
477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21 1 0 05-13
476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03 1 0 05-10
475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18 0 1 05-09
474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87 1 0 05-07
473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21 0 0 05-05
472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17 1 0 05-04
471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46 0 0 05-01
470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22 0 0 04-30
469
초대 댓글1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24 0 0 04-29
468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98 1 0 04-27
467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32 0 0 04-26
466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77 2 0 04-25
465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23 0 0 04-23
464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71 3 2 04-21
463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83 0 0 04-09
462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20 0 0 04-07
461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38 0 0 04-06
460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95 2 1 03-27
459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26 1 0 03-17
458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17 0 0 03-13
457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07 0 0 03-10
456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28 0 0 03-09
455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91 1 1 03-04
454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03 0 0 02-26
453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71 0 0 02-24
452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99 0 0 02-22
451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38 0 0 02-08
450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11 1 0 02-05
열람중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53 0 0 02-03
448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05 0 0 02-02
447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22 1 0 01-21
446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41 1 0 01-06
445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75 0 0 01-13
444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47 0 0 01-08
443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03 2 0 12-15
442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21 0 0 12-13
441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55 2 0 11-25
440 no_profile 고고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12 5 0 11-07

검색